for 반복문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을 하나 더 꼽자면 범위(range)가 있습니다. 특정 횟수만큼 반복해서 돌리고 싶을 때는 for 반복문과 범위를 조합해서 사용합니다.
- 첫째 : 매개변수에 숫자 한개를 넣는 방법
- 둘째 : 매개변수에 숫자 두 개를 넣는 방법
- 셋째 : 매개변수에 숫자 세 개를 넣는 방법
[ 범위 range ]
- 리스트, 딕셔너리 외에 for 반복문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범위(range) 자료형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[ 매개 변수에 숫자 한 개 넣는 방법 ]
0부터 A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듭니다.
range(A) ← A는 숫자 |
[ 매개 변수에 숫자 두 개 넣는 방법 ]
A부터 B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듭니다.
range(A, B) ← A와 B는 숫자 |
[ 매개 변수에 숫자 세 개 넣는 방법 ]
A부터 B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드는데, 앞뒤의 숫자가 C 만큼의 차이를 가집니다.
range(A, B, C) ← A, B, C는 숫자 |
range(0, 10)에서 10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 처음 범위를 공부할 때 range(10), range(0, 10)이라고 있으면 [0,1,2,3,4,5,6,7,8,9,10]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, 10이 포함되지 않습니다. 이전에 string[0:2] 또는 list_a[0:2]라고 입력하면 뒤에 입력한 2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 파이썬의 모든 기능들은 범위를 지정할 때 뒤에 입력한 숫자를 포함하지 않습니다. 꼭 기억해 주세요 |
[ for 반복문 : range와 함께 사용하기 ]
for 반복문과 범위를 조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. for 반복문과 범위를 조합해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.
for 숫자 변수 in 범위: 코드 |
[ for 반복문 : 리스트와 범위 조합하기 ]
리스트와 반복문을 조합해서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합니다. 그런데 반복을 적용하다 보면 '몇 번째 반복일까?'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'몇 번째인지 알아내는 방법'은 많습니다. 가장 쉬운 방법은 다음과 같이 범위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.
※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10 54 21 74 96 0번째 데이터 = 10 1번째 데이터 = 54 2번째 데이터 = 21 3번째 데이터 = 74 4번째 데이터 = 96 |
[ for 반복문 : 반대로 반복하기 reverse() ]
방금 살펴본 반복문은 작은 숫자에서 큰 숫자로 올라갔습니다. 그런데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큰 숫자에서 작은 숫자로 반복문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러한 반복문을 역반복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해서 만듭니다.
첫번째는 range() 함수의 매개 변수를 세 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두번째는 reversed()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
reversed() 함수를 적용하면 [0, 1, 2, 3, 4]라는 형태의 범위가 [4,3,2,1,0]으로 뒤집어집니다. 따라서 9부터 0까지 반대로 반복문을 돌릴 수있습니다.
reversed() 함수는 리스트 등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3. 파이썬 문자열 - ord(), chr(), x.upper(), x.lower() (0) | 2022.11.06 |
---|---|
22. n개의 수를 입력 받아 정수로 변환하여 list에 저장하기 (0) | 2022.11.02 |
20. 파이썬 선택정렬, 버블정렬 (0) | 2020.05.14 |
19. 파이썬 sort 메서드, sorted 함수 (0) | 2020.05.11 |
18. 파이썬 재귀함수 (0) | 2020.05.10 |